LEE SU AN

2019 ~

DIGITAL CONTENTS CREATOR


누데이크는 ‘MAKE NEW FANTASY’라는 정체성으로 패셔너블하고 아티스틱한 디저트를 만드는 브랜드이다. 이 브랜드는 단순히 디저트를 먹는 행위를 넘어,문화적으로 영감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자 한다. 때문에 누데이크에서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중요한 영역이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맛의 감도를 시각 매체로 변환시키고, 디저트에 관해 호기심과 ‘먹고싶다’, ‘갖고싶다’의 욕망을 자극하는 콘텐츠를 만든다. 


19년 9월부터 현재까지 누데이크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콘텐츠 기획부터 연출, 제작, 스타일링,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한다.


'PICNIC' MUKNANG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대본, 연출, 스타일링, 커뮤니케이션, 현장 진행, 콘텐츠 오픈

‘피크닉’ 재출시를 홍보하기 위한 먹방 콘텐츠

  단순히 디저트를 먹는 행위가 아닌, 맛있고 재밌게 먹는 모습을 연출하고자 했다. 재치 있는 제스처와 댄스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과천 꿀수박을 캐스팅했고, 샤워를 마친 후 개운한 상황을 설정해 일상적인 상황을 소재로 삼았다. 동시에 꿀수박의 행동과 스타일링을 통해 이색적인 풍경을 만들었다. 

*과천꿀수박 :고등학생 댄스 크리에이터로 지난해 인스타그램을통해 트와이스 '알콜프리', 태연 'Weekend', 오마이걸 '던던댄스' 등을 커버하며 SNS 내 인기스타로 떠올랐다.





HOW TO MAKE 'PICNIC' 

Position : Content Creator (teamwork)

Role : 기획, 대본, 커뮤니케이션, 현장 진행

'피크닉' 출시를 홍보하기 위한 메이킹 콘텐츠

  케이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하고자 했다. 다만 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이 대중에겐 다소 지루해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카페 사장을 부캐로 삼고 있는 *김해준(최준)을 캐스팅했다. 최준의 재밌는 화법과 대사로 영상에 재치를 더해 영상을 끝까지 볼 수 있도록 유도했다.

*김해준 : 코미디빅리그 (tvN)와 유튜브 "김해준" 본인 채널에서 크리에이터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PICNIC' TEASING

Position : Content Creator (teamwork)

Role : 기획, 모델과 오브제 스타일링, 커뮤니케이션

 자연과 어우러지는 다이닝 테이블에서 식사를 하는 모습을 무드있게 연출했다. 

새로 출시되는 ‘피크닉’에 대한 호기심 유도와 세련된 이미지를 만들었다.




WHAT IS NUDAKE? WHIS IS PEAK?

Position : Content Creator (teamwork)

Role : 기획, 대본, 포토, 스타일링,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한국 론칭과 ‘피크’ 케이크를 홍보하기 위한 콘텐츠

‘NUDAKE MAKES NEW FANTASY!’

‘패셔너블하고 아티스틱한 디저트를 만드는 집단’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춰 기획한 시리즈 영상이다. 릴체리, 일반인 커플 그리고 가상의 인물을 내세웠다. 같은 배경에서 진행되지만, 그룹마다 차이를 둔 캐릭터와 언어 설정, 다르게 먹는 방식으로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높였다. 스타일링과 오브제를 통해서는 브랜드에 대한 패셔너블한 이미지를 구축했다.


첫 번째 콘텐츠는 질문과 답변이 오가는 영상으로 인터뷰의 본질을 잃지 않는 방향으로 제작했다. 답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제품의 맛과 질에 대한 신빙성을 높이고자 FnB 종사자를 서배했다. 

세 번째 콘텐츠는 가상 동물을 초대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케이크를 먹는 염소’로 콘텐츠에 기괴함과 귀여움을 더했다. 캐릭터가 케이크를 맛있게 먹으며 ‘음매’ 소리로 답변에 응해 대중이 콘텐츠를 즐겁게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WEIRD RECIPE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촬영, 편집, 사운드 디자인, 모델, 진행

대중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다가가기 위한 콘텐츠

 인스타그램에서 느껴지는 브랜드의 무드는 대중에게 친근하게 어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것을 해소하고자 기획한 시리즈 영상이다. 누데이크 디저트를 이용해 평소 시도하지 않을 것 같은 레시피를 만드는 것을 주제로, ‘남들과 다를 바 없는 고된 직장인’을 캐릭터로 삼았다. 예상치 못한 생각과 연달은 실수, 공감되는 직장인의 언어로 하여금 대중으로부터 재미와 공감을 얻었다.






TEST SERIES 1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테스트 시리즈'는 누데이크가 실험적인 집단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스낵형 콘텐츠이다.촛불은 케이크에만 꽂는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 만든 콘텐츠. 다양한 물체에 촛불을 올려 이미지를 구성했다.  

TEST SERIES 2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TEST SERIES_1에 이은 콘텐츠로 이미지를 영상화했다. 오브제의 조형적인 배치와 은은한 조명으로 이미지에 무게를 더했다. 

JENTLE HOME GOODS 1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젠틀홈 굿즈 홍보 영상

젠틀몬스터XJENNIE의 ‘젠틀홈’ 프로젝트에서 누데이크는 사탕 굿즈를 제작했다. ‘젠틀홈’과 사탕 굿즈는 Y2K시대를 연상시켰고, 그 시절에 무드를 컨셉으로 잡았다. 폭탄 게임, 매칭 게임, 윈도우 98을 소재로 디저트를 키치하게 해석했다.

JENTLE HOME GOODS 2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JENTLE HOME GOODS 3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Covid-19 / Stay at home / Mask crisis


NUDAKE 한국 론칭 전, 누데이크를 이슈 시키기 위해 디저트에 패션 그리고 사회적 문제를 다룬 화젯거리를 접목한 콘텐츠를 만들었다. 코로나가 성행할 무렵,온라인상에서 ‘밈’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대중이 집에서 쉽게 소비하고 공감할 수 있는 스낵형 콘텐츠를 기획했고, 30초 안팎에 이미지 영상을 시리즈로 제작했다. 해당 콘텐츠는 해외 매체에서 이슈가 되었다.

*밈 : 넓은 의미로 ‘재미있는 말’과 ‘행동’을 온라인상에서 모방하거나 패러디한 콘텐츠 

TEST SERIES 3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브랜드의 키워드인 ‘판타지’와 ‘아티스틱’을 소재로 삼았다. 코로나 시대에 집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는 예술가를 컨셉으로 모델은 마치 실험을 하듯 디저트를 먹고 영상으로 기록한다. 코로나가 유행될 무렵 사람들은 더욱 온라인을 통해 세상과 소통했고, 그것에 영감을 받아 데스크톱의 바탕화면을 편집 디자인으로 차용해 영상을 구성했다.

TEST SERIES 4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TEST SERIES 5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컴퓨터 게임을 하는 모습이 아닌 모델이 직접 게임 속 주인공이 되어 액션을 펼치는 컨셉이다. 코로나 세균은 퇴치하고, 디저트는 잡는 게임의 방식으로, 디저트를 재밌게 소비할 방법을 모색했다.

TEST SERIES 6 (MEME)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테스트 시리즈에 *밈을 더한 콘텐츠이다. 패션 브랜드에서 마스크가 출시되고, 고가에 팔리던 현상을 접목시켰고, 설탕으로 마스크를 만들어 진행했다.



TEST SERIES 7 (MEME)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TEST SERIES 8 (MEME)

Position : Content Creator

Role : 기획, 연출, 촬영, 편집, 영상 디자인


Using Format